반응형 잡학 식품140 마늘효능 성분 보관법 고르는 법 마늘효능 성분 보관법 고르는 법 부작용 안녕하세요. 소소잡지 입니다. 오늘은 알싸한 향과 미국의 타임지에서 세계 10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도 되었으며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데 최고인 마늘에 대해 준비를 해왔습니다. 마늘 단군신화에서도 기록이 보이는 것으로 오래전부터 재배를 하였으며, 지금까지도 우리나라에서는 빠질 수 없는 요리의 재료로 사용됩니다. 우리가 생으로 먹거나 다져서 요리의 재료로 사용하는 부분을 비늘줄기라 칭하며, 마늘은 비늘줄기뿐만 아니라 여린 잎과 줄기도 요리로 이용해 먹습니다. 마늘의 특징으로는 매운맛이 강하고 특유의 알싸한 향이 납니다. 열에 가열해서 먹게 되면 매운맛과 알싸한 향이 사라지고 특유의 향긋한 향과 단맛이 증가합니다. 과거에서도 다른 식물을 재배하는데 비해 비교적 쉬워 전국적으.. 2021. 12. 19. 당근효능 성분 보관법 고르는법 주의사항 당근효능 성분 보관법 고르는법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소소잡지입니다. 오늘은 식재료로 전 세계에서 쓰이고 토끼나 말에게는 고유명사처럼 빠질 수 없는 당근에 대해 준비를 해왔습니다. 당근 미나리과에 속하는 식물이며 예전에는 사람은 먹지 않고 말의 먹이로 많이 사용했다고 합니다. 요즘에나 다이어트 식품으로 샐러드나 카레, 볶음밥, 주스 등등으로 널리 많이 쓰입니다. 우리가 모르는 사실로는 당근의 주황 색깔이 일반적이지 않고 가지각색의 당근이 많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주황색을 제외한 다른 색의 당근은 단맛이 거의 없으며 쓴맛이 강했다고 하는데 아프가니스탄의 당근만 주황색을 띠고 이곳에서 전 세계로 퍼졌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현재의 당근은 주황색을 띠고 계속 품종을 개량하여 단맛이 강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호불호.. 2021. 12. 18. 양파효능 성분 보관법 고르는 법 양파효능 성분 보관법 고르는 법 안녕하세요 소소잡지 입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요리에는 절대 빠질 수 없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생상량이 많은 3대 채소중 하나인 양파에 대해 준비를 해왔습니다. 양파 재배의 역사로는 4천년이상 되었다고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부터 본격적인 재배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양파는 오래 보관하게 되면 파의 줄기가 자라나는 걸 볼 수 있는 것처럼 파의 일종입니다. 그래서 서양에서 온 파라고 양파라고 이름이 지어졌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인 양파는 국내에서 개발된 양파의 품종으로 겉껍질은 연한 주황 빛깔(?)을 가지고 있으며 속은 하얀색을 띠고 있습니다. 식감은 사과처럼 아삭한 식감을 가지고 있으며 매운맛과 은은한 단맛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생양파를 먹으면 매운맛이.. 2021. 12. 17. 브로콜리효능 성분 보관법 고르는 법 브로콜리효능 성분 보관법 고르는 법 안녕하세요 소소잡지입니다. 오늘은 외국에서 음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채소중 하나이며 녹색의 꽃양배추라고도 불리는 브로콜리에 대해 준비를 해왔습니다. 브로콜리 브로콜리는 양배추의 일종이며, 꽃다발을 만들어 놓은 듯한 형상을 해 꽃양배추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서양에서 주로 만들어 먹는 샐러드나 수프, 스튜 같은 요리에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30년 전에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채소이자 식품이었지만 한창 웰빙의 붐이 일어나고 매체에서 건강에 좋다고 소개가 많이 되어 지금까지 웰빙식품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생으로 치즈만 뿌려 먹기도 하고 여러 향신료와 볶아서 먹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살짝 데쳐서 먹거나 초장을 찍어 .. 2021. 12. 16.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35 다음 반응형